
2015년 새해 맞이
by 김상훈
새해에 뭔가 다짐을 해봐야겠다는 생각을 하다가 지난해 교황이 방한하셨을 때 썼던 글을 다시 읽게 됐다. 생각해보니 큰 다짐이 필요한 세상이 아닌 것 같다. 좋은 가르침을 다시 새기고 제대로 살려고 노력하는 것만으로 충분한 게 아닐까 싶어서 다시 여기 옮겨둔다. 불필요한 오해를 막기 위해 미리 밝혀두자면 난 기독교인이 아니다. 불교인도 아니고 이슬람교인도 아니다. 난 세상 모든 신들을 믿고, 그 모든 종교를 존중한다. 천년을 넘게 이어진 세상 모든 가르침에는 배울 점이 참 많으니까.
어쨌든 다른 종교와도 이러저런 인연이 있어서 관심을 갖게 됐고 공부도 해보게 됐지만, 그 중에서도 기독교와의 인연은 우연하게 시작된 데다, 그 경험 또한 아주 강렬했다. 시작은 성경이었다. 군대에 가기 직전 마침 소설처럼 고쳐 쓰인 현대어로 된 구약을 읽고 있었다. 보면서 한심했다. 이 야훼라는 신은 변덕이 죽끓듯해서 뭘 해라, 하지 말아라 하는 얘기가 시시때때로 변했고, 인간들이 큰 잘못을 한 것 같지도 않은데도 툭하면 세상을 멸망 직전으로 몰고 가는 천벌을 내려대곤 했다. 노아의 가족들만 빼고는 세상을 물에 잠기게 한다거나, 바벨탑 좀 지었다고 사람들의 말을 서로 통하지 않게 만들어버린다거나, 이집트인들이 유대인들을 구박했다며 이집트인들을 몰살시키려 한다. 소돔과 고모라야 소돔과 고모라니까 그렇다쳐도.
구약을 읽고서 이런 신을 믿는 사람들은 도대체 뭘 믿고 살아가나 싶었다. 신을 믿고 의지하다보면 불벼락을 맞을 것만 같은데. 그리고나서 군대에 갔다. 곧이어 책이 없는 환경과 마주쳤다.(이거 진짜 괴롭다.) 유일한 책은 성경과 금강경. 그래, 구약은 읽었으니 이 기회에 신약이나 읽어보자 싶어서 집어 든 게 공동번역성서(천주교 개신교 공동 번역)였다. 현대어로 성경을 번역했기 때문에 이 또한 소설을 읽듯 읽기 편했다. 그리고 예수의 삶을 읽으면서 난 이 종교에 완전히 매혹됐다. 아마도 이등병 시절에 신약을 읽어서 더 그랬을지도 모르겠다.
신약에서는 구약의 신은 오간 데 없었다. 예수는 인간 세상으로 내려온 신의 아들이자 동시에 사람의 아들이었는데, 그는 세상에 사람의 육신을 빌어 등장한 뒤 인간의 목소리로 하늘의 가르침을 전했다. 그가 했던 말은 오직 하나.
"이제부터 너희는 내가 너희에게 그러했던 것처럼 서로를 사랑하라."
신의 아들이 직접 입을 열자 복잡한 규칙을 정했던 변덕스런 야훼의 모든 모습이 사라져 갔다. 그 이상한 신의 모습은 선지자라는 사람들이 각자 자신들이야말로 신의 뜻을 안다며 떠들어댔기 때문에 생겨났던 얘기였다. 신의 아들이 직접 신의 뜻을 얘기해 주니 모든 논쟁은 정리됐다. 예수의 가르침은 지극히 단순했다. 서로를 사랑하라는 것. 나머지 가르침은 그 아래의 하위 조항 정도에 불과했다.
신약에 따르면 사람들이 서로를 사랑하려면, 그것도 진정으로 사랑하려면 반드시 해야 하는 게 있다. 사랑받지 못하고 소외당하는 약한 곳, 낮은 곳부터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잘 살고 편안한 힘 있는 사람들끼리 서로 사랑하는 건 굳이 노력하지 않아도 할 수 있으니까 온기가 없는 곳부터 돌봐야 한다. 그래서 예수는 아흔아홉마리의 어린양을 놓아두고 굳이 길 잃은 한 마리의 어린양부터 찾아가라고 가르쳤다. 또 원수를 만나도 용서하라고 가르쳤다. 그래서 스스로 로마 제국 아래에서 고생하는 평민들을 찾아갔고, "(신의 아들인 내가) 너희의 죄를 용서했으니 너희도 서로를 용서하라"는 말을 했던 것이다.
기독교 교리는 하나도 어렵지 않았다. 이등병 때 계속 부대 성당에 다니면서 수녀님들과 천주교 교리도 공부하고 성경도 꼼꼼히 읽었는데 이 단순한 얘기를 다양한 사례로 변주해 설명해 주고 가르쳐 주는 과정이 곧 기독교인이 되는 과정이었다. 세례도 받고 싶었지만, 교회에 세번인가 나가면 세례를 주는 개신교와는 달리 천주교 성당에서는 교리공부를 몇 차례 했다고 교인 자격을 쉽게 주지는 않았다. 결국 그래서 기독교인이 되지는 못했지만 그 때 했던 공부만큼은 그 과정 자체가 큰 위안이 됐다. 세상 전체가 이등병인 나를 괴롭히는 것 같은 시절이었는데도, 교회에만 가면 성경과 신부님의 설교와 우리가 부르는 찬송이 모두 "기독교는 너처럼 약한 사람을 제일 우선하는 종교"라고 반복해서 얘기해 줬다.
프란치스코 교황에 대한 세계적인 찬사와 함께 한편에서는 온갖 비난도 일고 있다는 얘기를 들었다. 교황이 성경에서 인정하지 않는 동성애를 인정하는 발언을 했고, 기독교인이 아닌 사람도, 야훼와 예수를 믿지 않는 사람도 양심에 따라 살면 천국에 갈 수 있다고 주장한데다, 공산주의자처럼 자본주의를 비판하고 있다는 게 문제가 된다고 했다. 그것도 기독교인들이 그를 비난한다고. 내가 그들에게 되묻고 싶다. 성경은 읽어 봤느냐고.
지난해 교황의 공항 영접에는 평신도 가운데 "복자로 선포되는 시복대상 후손들과 함께 세월호 참사 희생자 유가족, 새터민, 외국인 이주노동자, 범죄피해자 가족모임 회원, 장애인, 중·고교생, 가톨릭노동청년" 등이 참석했다. 또 방한 기간 동안 교황은 "세월호 참사 생존자와 유족,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를 기다리며 오랜 세월 고통 속에 살아 온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 용산참사 유족, 쌍용자동차 해고노동자, 제주 해군기지와 송전탑 건설 반대 운동을 하는 강정마을과 밀양 주민들"을 만났다. 예수께서는 교인들에게 그렇게 살라고 했고, 교황은 그렇게 살았다. 사실 다른 종교의 가르침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부자와 권자를 위한 세속 교권은 있어도, 신들의 음성은 늘 빈자와 약자를 향해 있기 마련이었다.
2014년은 참 힘든 한해였다. 잔인하리만치 가슴아픈 일들이 주위에 많았고, 수많은 사랑하는 사람들이 먼저 세상을 떠났다. 좋은 일들도 많았지만, 이렇게 힘들었던 한 해가 또 있었나 싶을 정도로 우리 모두에게 안 좋은 기억부터 생각났던 한 해였다. 2015년은 좀 더 나아지기를. 그리고 지난해의 교훈과 가르침에서 조금씩 더 성장하고 앞으로 나아가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