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preting Compiler

애플의 미치광이 과학자, 빌 앳킨슨

by

좋은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라면, 밤을 새우는 것을 조금도 껄끄러워하지 않았던 '미치광이 과학자'. 헝클어진 긴 머리와 휘둥그런 푸른 눈으로 서성거리는 매킨토시 팀의 괴짜. 이것이 빌 앳킨슨을 바라보는 애플 직원들의 시선이었다고 합니다. 하루는 밤을 새우고 아침에서야 집에 돌아가던 빌 앳킨슨이 졸음운전을 한 탓에 트럭 밑으로 차가 미끄러져 들어가 차 지붕이 다 날아간 적도 있었다고 합니다. 목숨을 건졌던 것이 기적이었죠. 하지만 앳킨슨이 목숨을 건진 덕분에 매킨토시도 세상에 등장할 수 있었습니다. 앳킨슨은 매킨토시의 혁신적인 기능이었던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GUI) 관련 핵심 개발자였거든요. 게다가 매킨토시를 잘 팔리게 만들어준 효자 소프트웨어 가운데 하나인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 '맥 페인트'도 그의 작품이었죠.

앳킨슨이 애플에 입사했던 건 1978년입니다. 오리지널 매킨토시 팀의 리더였던 제프 래스킨과의 인연 덕분이었죠. 래스킨은 샌디에고의 캘리포니아 주립대 교수였는데, 마침 앳킨슨이 그 밑에서 수업을 들었던 겁니다. 이후 앳킨슨은 매킨토시 팀에서 함께 일했던 앤디 허츠펠드와 1990년 제너럴매직을 창업할 때까지 계속해서 애플에서 일하게 됩니다.

매킨토시 팀의 수많은 천재들이 그랬듯, 앳킨슨 또한 매킨토시 팀 이후의 화려한 커리어가 돋보입니다. 제너럴매직은 PDA의 초기 개념을 확립한 회사였는데, 당시 이들이 고안했던 것은 컴퓨터와 가전제품 사이의 중간 정도 되는 손안에 넣어 들고다닐만한 작은 전자기기였습니다. 이들은 이 작은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필기 인식 소프트웨어를 만들어냈고, 지금 흔히 쓰이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아웃룩과 흡사한 방식의 일정관리 프로그램도 개발했습니다. 이 일정관리 프로그램은 컴퓨터와 휴대 기기 사이의 데이터를 동기화시키는 싱크 프로그램의 기능도 갖고 있었다고 해요. 사실상 개념상으로는 오늘날의 PDA와 크게 다르지 않은 매우 혁신적인 프로그램들이었습니다. 결국 나중에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제너럴매직의 라이센스를 사들이게 되죠.

앳킨슨은 스티브 잡스도 쫓아냈던 애플의 실세, 존 스컬리와도 나중에 한 판 붙게 됩니다. 앳킨슨과 허츠펠드는 애플에서 휴대용 기기를 개발하려 하고, 프로젝트 팀을 만들어냅니다. 하지만 1990년 한참 위기를 겪고 있던 애플에서 주력 분야도 아닌 휴대기기 개발 팀에 많은 자원을 투입하기란 쉽지 않았죠. 결국 견디다못한 앳킨슨과 허츠펠드는 창업이라는 승부수를 띄웁니다. 문제는 스컬리가 얼마 뒤 '뉴턴'이라는 PDA개발 프로젝트를 시작했다는 겁니다. 제너럴매직의 사업영역과 정확히 겹치는 것이었죠. 스컬리는 자신이 탄생시킨 사내벤처였던 제너럴매직에 대해 기술 침해라며 소송을 걸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뉴턴은 스티브 잡스의 복귀와 함께 폐기처분됩니다. 스티브가 스컬리의 잔재를 회사에 남겨둘 리가 없었죠. 제너럴매직의 기술은 앞서 말씀드린대로 MS에 팔렸고요. 최후의 승자는 앳킨슨이었던 겁니다.

지금 빌 앳킨슨은 뭘 하고 있을까요? 돈을 벌 만큼 벌고 난 뒤에, '사진가'가 됐습니다. 자연의 경이로움을 담기 위해 미국 구석구석을 누비고 다닌다고 하네요. 아래는 그의 최근 모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