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훈

딥시크 양조장

딥시크(DeepSeek)가 왜 AI 엔지니어들의 영역을 벗어나 온 세상을 시끄럽게 하는지 아래 그림 한 장이 잘 설명한다. 이른바 증류(distillation)라고 불리는 기법 때문이다. ChatGPT는 우리 눈을 현혹시켰다. 너무나 그럴싸한 답변을 내놓아 사람인지 기계인지 구별하기 힘들어서다. 이 놀라운 능력의 기반은 근본적으로 더 많은 데이터에 있다. 오늘날의 AI는 인간이…

중국의 아웃라이어

연휴 기간 내내 DeepSeek 때문에 세계가 뒤집혔다. 엔비디아 주식이 폭락하고, 나스닥이 따라서 급락하고, 삼성전자와 하이닉스도 오늘 개장한 국내 주식시장에서 급락하고... 한편에선 다른 칭송이 이어진다. 한국은 이과 수험생이 성적순으로 전국 모든 대학 의대를 휩쓸고 난 다음에야 컴퓨터공학이든, 수학이든, 물리학이든 도전하는데 중국에선 매년 150만 명의 이공계 인재가…

릴레이라이즈에서 투로까지

미국에서 끔찍한 사고 두 건이 발생했다. 피해가 큰 건 뉴올리언즈. 테러범이 차를 몰고 인파에게 돌진한 뒤 내려서 총을 쏴댔다. 라스베거스에서도 테러범이 나타났다. 이 테러범은 일론 머스크가 자랑하는 사이버트럭을 몰고 트럼프 타워를 들이박았다. 둘 다 전역한 군인들이 범인이었는데, 공통점이 또 하나 있었다. 두 테러리스트는 모두 투로(Turo)라는…

Weekly IC #3

BYD는 전기차 회사로 유명하지만, 그것만이 전부가 아니다. 전기차 제조 분야 외에도 애플의 아이패드 제조를 대신하기 위해 이미 10만 명의 직원을 고용했다. 이 정도면 자동차 회사가 아니라 전자 회사. 한국에 직원 수 10만 명 규모의 단일회사는 삼성전자가 유일하다. 현대차도 8만 명 수준에 불과할 정도. 이렇게 BYD가…

Weekly IC #2

중국 젊은이들은 게임을 할 때 PC방 대신 호텔에서 모인다. 온라인 게임의 특성상 친구들과 모여서 함께 게임을 하는 게 즐거우니 중국 젊은이들도 과거에는 PC방을 찾았는데, 코로나19 때 집합금지 명령으로 PC방 문화가 사라졌다고. 하지만 중국에는 "위에서 정책을 만들면 아래에선 대책을 만든다(上有政策 下有對策)"는 말이 있다. PC방 대신 찾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