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훈

합의는 사라지고 대결만 남는 인터넷 민주주의

1970년대 미국의 경제학자 토마스 셸링은 충격적인 사실을 발견합니다. 흑인과백인이 사이좋게 어울려 살던 지역이 어느 순간 갑자기 '흑인 동네'와 '백인 동네'로 자로 줄을 그은 듯 나뉘어지는 현상을 발견했기 때문이죠. 흑백 갈등이 충격적이었던 것이 아니라, 이 지역에 살던 사람들이 스스로를 '인종적 편견이 거의 없으며, 서로 다른 인종과…

2등 기업의 1등 따라잡기 전략

얼마 전, 한 물 간 기술로 생각됐던 기술을 혁신해 선두 업체와 새로운 경쟁의 장을 만들어내는 2등 기업들의 사례를 신문 지면에서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연세대 경영대학 이호욱 교수님께 해당 기사를 쓰면서 몇 가지 문의를 드렸더니, 생각보다 훨씬 더 자세하고 도움이 되는 답변을 주셨습니다. 기사 마감이 끝난 뒤…

스마트폰

동아일보는 뉴스스테이션이라는 인터넷 방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직접 등장한 건 처음이네요. 쉽게 설명해보겠다고 했는데, 보시는 분들께 정보가 됐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의외로 많은 분들이 '햅틱 아몰레드'나 '프라다폰' 같은 휴대전화가 스마트폰이라고 생각하고 계셔서 제가 놀랐고, 제가 그런 건 엄밀히 말해 스마트폰이라는 카테고리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말씀드리자 함께 방송을 진행하던…

인터넷 시대의 작가들이 책을 쓰는 법

작가가 골방에 앉아서 참고 서적을 뒤적이며 머리를 싸매고 책을 쓰는 풍경...이젠 사라질지도 모릅니다. 이미 몇몇 작가들은 전혀 다른 방식으로 책을 쓰기 시작했습니다. 몇 년 전 한국에서도 베스트셀러로 인기를 모았던 '괴짜경제학'이란 책의 저자 스티븐 레빗과 스테픈 더브너의 경우를 보죠. 이들은 최근 '슈퍼괴짜경제학'(Super Freakonomics)이라는 새 책의 출간을…

미국 애플 앱스토어의 유료 1위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한국인

...이라는 얘기를 트위터를 통해 들었습니다. 뉴스의 속도가 점점 빨라진다는걸 실감하고, '관심있는 뉴스'가 점점 더 빨리 내게 찾아온다는 변화도 느끼게 됐습니다. http://www.xevious7.com/547 블로그의 내용이 트위터에서 수많은 RT를 타고 퍼지더군요. 무슨 얘긴가... 싶은 분들도 계시겠지만, 트위터를 써보시면 RT가 뭔지 금세 아시게 될 겁니다. 한경닷컴 사이트에는 순식간에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