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preting Compiler

빵 굽는 타자기

by

새 맥북은 조금 특별해 보였다. 루머가 나왔을 때부터. 작아지고, 강력해지고, 아름다워진다는 루머가 도는데 사실은 그것보다 그저 "와, 저건 정말 끝내주는 워드프로세서다"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글을 쓰게 해주는 본연의 임무에 충실하면서 무지 가볍고, 인터넷도 되고 영화도 볼 수 있으며 회사 일도 처리할 수 있는 기계. 그리고 오늘 나온 맥북이 딱 그랬다.

새 맥북의 12인치라는 스크린 사이즈는 흔히들 말하는 것처럼 기존의 11인치 맥북에어(화면비 16:9)와 13인치 맥북에어(화면비 16:10)의 '절충'이나 '중간'이 아니다. 11인치 맥북에어에 가까운 폭에 13인치에 가까운 높이를 가져서 12인치가 된 것에 더 가깝다.(새 맥북도 화면비가 16:10이다.) 즉 세로로 더 많은 정보를 보여주면서 화면 해상도도 레티나급으로 높인 11인치 맥북에어다. 11인치 맥북에어는 작은 화면에도 불구하고 그 가벼움 때문에 여전히 수요가 있던 노트북이었지만, 난 싫었다. 원고라도 쓰고 있으면 한 화면에 표시되는 문단 수가 확실히 적었고, 가로로 길어서 영화 같은 동영상을 보는데 최적화됐는지는 모르겠지만 읽고 쓰는데 있어서는 아주 불편했다. 게다가 한번 격자 없는 레티나 모니터에 적응하면 낮은 해상도의 스크린은 더이상 보기가 싫어진다. 이런 사람들에게 11인치 맥북에어는 영 엉망이었다. 반면 새 맥북은 16:10 비율을 제대로 갖췄다. 그리고 더 가벼워졌다. 게다가 또렷한 화면까지 덤으로 제공한다.

사진으로 비교하면 알 수 있지만, 맥북과 13"맥북에어는 세로로 더 많은 정보를 보여주는 반면 11"맥북에어는 위아래가 많이 잘린다.

그리고 새 맥북의 또 다른 특징은 풀사이즈 키보드의 크기를 거의 그대로 지켰다는 점이다. 스트로크시 신호를 입력받는 방식도 개선했다는데 이점은 실제 제품을 손으로 두드려봐야 알 것 같다. 또한 개별 키보드마다 LED를 붙여서 키캡 조명을 개선했다는데, 달리 말하면 더 어둡게 키보드의 밝기를 설정하더라도 키 하나하나를 더 쉽게 알아볼 수 있다는 뜻이다. 물론 프로세서는 강력하지 않다. 이미지나 동영상 프로세싱 혹은 최신 게임에 모자란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작가나 저널리스트라면? 키보드가 뛰어나고, 들고다니기 가벼우며, 모니터도 끝내주는 워드프로세서가 아주 만족스럽기 마련이다.

새 맥북이 형편없는 프로세서에 멋진 케이스를 붙여서 나온 값비싼 장난감이라며 폄하하는 시선이 많다는 건 잘 알고 있다. 하지만 애플이 인기를 끌었던 이유가 투박한 케이스에 가격대 성능비가 뛰어난 부품들을 구겨넣었기 때문은 아니었다. 난 꽤 오래 써왔던 서브노트북인 2011년형 13인치 맥북에어를 슬슬 새 모델로 교체할 때가 오지 않았나 생각하는 중이고, 4GB 메모리에 겨우 128GB의 SSD 저장공간을 가진 이 모델도 사실 딱히 성능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진 않는다. 그래서 다음에 이 모델을 바꿀 땐 별 고민없이 새 맥북을 택하게 될 것 같다. 8GB 메모리와 256GB 저장공간을 가진 새 맥북은 부족했던 부분만 딱 채워넣은 듯 싶으니까.글을 쓰는 사람들에겐 더할 나위 없는 노트북 같다. 특히 책상머리에 앉기보다 집밖으로 나가길 좋아하는 야전형 작가들이나 기자들, 외근이 잦은 마케터들이라면 더더욱. 한국의 광고모델(혹은 나레이터)로는 자전거를 타는 소설가 김훈 같은 사람이 어울리지 않으려나.

그래서 새 맥북은 '빵 굽는 타자기' 같다. 세상에는 이것저것 컴퓨터의 기능을 대충 갖추고 있는 아주 괜찮은 워드프로세서를 사려는 사람들도 있게 마련이니까.

p.s. USB-C타입 포트가 달랑 하나 있는 구성에 대한 불만이 많던데, 난 전혀 불만이 없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전원 어댑터와 여러 기계를 연결할 확장 어댑터 및 USB 케이블을 주렁주렁 들고 다니면 무게 차이가 뭐가 나느냐"라고 얘기하는데, 이상한 생각 같다. USB 케이블이 전원 케이블이 됐다는 건 이제 맥북을 들고다니면서 전원 어댑터를 아예 놓고 다녀도 된다는 얘기 아닐까. 아이패드를 들고 다니면서 전원 어댑터를 들고 다니지 않는 것처럼, USB 전원이 있는 곳이면 이제 컴퓨터도 충전 가능하다. 게다가 영화를 연속해서 10시간 볼 수 있는 노트북을 들고 다니면서 과연 충전할 필요가 있을까? 배터리가 아이패드 수준인데? 충전을 해야만 할 정도로 노트북을 헤비하게 써야 할 장소라면 이미 케이블이 있는 집이나 사무실이 아닐까? 걱정 및 억측과는 달리, 난 애플이 처음으로 전원 어댑터를 들고 다니지 않아도 되는 노트북 혹은 아이패드 같은 노트북을 만들어 낸 거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게 우리가 노트북에 기대했던 것 아닌가? 자유롭게 들고 다니는 컴퓨터라는 개념 말이다. 아이패드에 "추가 디스플레이 연결이 안 되니 후졌다"거나 "아이패드로 아이폰 충전을 할 수 없어 말짱 꽝"이라고 말한다면 얼마나 이상한 소리냐는 얘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