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별과 역차별과 역차별에 대한 차별
by 김상훈
최근 아시아계 응시자들이 하버드에 소송을 제기했다. ‘신입생 인종 비율 맞추기’가 하버드의 관행이라는 강력한 증거가 제출됐다. 각 인종·민족 집단의 입학생 수가 매해 현저히 비슷한 비율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입증하는 자료다. 아시아계 입학생 수가 유난히 높은 해가 드물게라도 있으면 그다음 해부터는 아시아계가 눈에 띄게 줄었다는 통계도 있다.
뉴욕타임즈 칼럼을 번역한 중앙일보 기사. 이 기사에 등장하는 어퍼머티브 액션(Affirmative Action)이란 말을 처음 들은 건 대학생 시절 캐나다에 갔던 때였다. 긍정적인 의미에서 큰 충격을 받았던 개념이었다. 북미가 선진 사회라고 놀란 건 아니고, 이들의 생각에 대해 놀랐다. 우리는 모두 우리의 편견에 의해 서로를 차별하게 마련이니, 차별을 줄일 수 있도록 우리가 우리를 역차별해서 평등을 만들어 보자는 사회적 약속을 만들었던 것이니까.
그러니까 애초에 이 제도는 흑인 학생이 좋은 대학에 입학하지 못하면 사회의 높은 지위도 차지하기 힘들고 그러면 이 흑인 학생들은 백인들끼리 밀어주고 끌어주는 네트워크에서 소외돼 흑인들이 집단적으로 불이익을 보는 상황이 발생한다는 문제에서 비롯됐다. 이를 해결하려면 흑인을 억지로 비율을 정해 뽑으면 된다는 생각이었다. 그러면 그들끼리 밀어주고 끌어주면서 백인 주류 집단과 경쟁할 능력을 갖추게 되고, 그렇게 되면 지금은 흑인 학생들의 성적이나 과외 활동 등이 (사회적 여건, 가계 소득, 가정 환경 등으로 인해) 백인 학생들보다 뒤진다고 해도 그들의 후대에선 개선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이 칼럼이 지적하는 문제는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간다. 이 칼럼 얘기는 지금은 아시아계 학생들이 '실력대로' 뽑으면 백인을 제치고 주류가 될지도 모른다는 위기감이 하버드에 불어서 아시아계 학생들이 역차별을 받는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어퍼머티브 액션이란 게 미국 내 소수인종을 위한 백인에 대한 역차별 제도인데, 이 역차별 제도가 백인을 위해 소수인종(아시안)을 역차별한다는 이상한 얘기가 현실이 됐다. 많은 아시아계 학생들은 이미 경제적으로 윤택하고, 성공을 위한 인종그룹별 네트워크도 갖추고 있다. 그래서 아시아권 문화가 하버드를 점령하는 상황을 백인들이 두려워할 수 있다는 얘기아. 물론 이 또한 가정에 불과하고, 통계를 통한 추론일 뿐이다. 하지만 이 경우 어퍼머티브 액션은 아시아계에 대한 또 다른 차별이다. 인종 쿼타를 맞추기 위해 더 많이 뽑을 학생들을 억지로 줄여 뽑으면서 백인들에게는 상대적 우대를 해주는.
그래서 그냥 쿼타를 없애고 평등하게 가자는 아시아계의 주장은 과거 (흑인들 때문에 유태인 자리가 줄어든다고 생각해서) 어퍼머티브 액션이 필요없다고 주장했던 유태인들의 주장과 묘하게 비슷하다. 문맥 그대로 살피면 올바른 얘기가 인종적 맥락에서 살피면 올바르지 않은 얘기가 된 셈이다. 그런데 이런 게 우리가 사는 세상이다. 절대적 진리라고 내가 뭔가를 주장해 봐야 사실은 자신의 입장에서만 진리에 불과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