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첫번째 애플스토어
by 김상훈
2000년 10월, 론 존슨은 멋진 애플스토어를 완성한다. 한쪽에는 노트북이, 다른 쪽에는 데스크톱이 있는 깔끔한 스토어였다. 장소는 멋진 원형이었고, 애플 특유의 미니멀리즘이 어김없이 발휘돼 있었다.
스티브 잡스가 존슨과 함께 세부 디자인을 모두 살폈고, 수많은 임원들이 자신의 의견을 반영시켰다. 그날은 첫 스토어 오픈을 준비하기 위해 직원들을 모아놓고 스토어에서 평가회의를 열던 날이었다. 잡스와 함께 차를 몰고 가던 존슨이 말했다.
"아무래도 전부 잘못된 것 같아요. 매장을 처음부터 다시 구성해야겠어요."
잡스는 불같이 화를 냈다. 리테일 사업의 로드맵 전체에 영향을 줄 무책임한 소리였다. 그 뒤로 잡스는 차에서 내릴 때까지 한마디도 하지 않았다.
그리고 첫 애플스토어가 될 장소에 도착했을 때, 잡스는 이렇게 말했다. "론이 우리 매장의 설계가 전부 잘못됐다고 합니다. 그 말이 맞아요. 이제 전 갈테니 모두 론이 말하는대로 따라주세요."
존슨은 제품별 동선이 고객을 위한 것이 아닌 제품을 과시하기 위한 동선이라고 생각했다. 한 쪽은 음악이, 다른 쪽은 영화가 컨셉인 식으로 고객의 사용 패턴에 따라 동선을 구상하는 것이 옳다는 것을 뒤늦게 깨달은 것이다. 잡스는 그날 존슨에게 이렇게 말한다. "픽사에서 배운 건, 제작하는 거의 모든 영화마다 뭔가 적절치 못한 것이 나온다는 점이었어요. 그럴 때마다 픽사 사람들은 제대로 바로잡겠다며 제대로 될 때까지 수정했죠. 영화개봉 일자에 지배당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갖고, 얼마나 노력할 수 있느냐에만 집중했어요."
브렌트 슐렌더의 '비커밍 스티브 잡스'는 흔히 알려진 스티브 잡스의 얘기는 그 뒷 얘기를 들려주고, 한편으로는 흔히 알려지지 않은 얘기들을 모아서 정리한 독특한 스티브 잡스 이야기다. 월터 아이작슨의 전기가 워낙 성공한 탓에 가려졌지만, 흔한 얘기들이 다시 반복되는 아이작슨의 전기와는 전혀 다른 재미가 있다. 무엇보다, 넥스트와 픽사 시절의 잡스에 주목한다. 사실 이 접근이 보다 맞는 접근인 것이, 스티브 잡스는 성격 파탄자인 젊은 잡스와 신격화된 말년의 잡스로만 소비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성격 파탄자가 어느날 갑자기 화려하게 복귀해 거대하고 복잡한 시가총액 세계1위 기업을 운영하는 것이 과연 가능한 일일까? '비커밍'은 계속해서 그 사이에 주목한다. 어떻게 어린 철부지 천재가 성숙한 경영자가 되는지에 대한 과정을 따라가다보면 말 그대로 스티브 잡스가 어떻게 스티브 잡스가 되는지(becoming) 깨닫게 된다.
2017년에 번역본이 나온 책인데, 이제서야 읽게 됐다. 스티브 잡스가 죽은지 10년이라고 여기저기 나오지 않았다면 올해도 그냥 넘겼을 텐데, 그랬으면 후회했을 듯. 그만큼 페이지마다 줄 긋고 싶은 부분들이 많았던 책이다. 그나저나 벌써 10년이라니, 세상에나. 세월 빠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