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preting Compiler

IT는 과연 일자리를 줄일까?

by

대선이 시작되면서 IT라고 영향을 받지 않을리가 없다. 공인인증서 제도는 어찌할 거냐는 구체적인 질문부터 시작해서 옛 정보통신부 같은 IT 총괄조직의 설립에 대한 정부 기구 재편 논의까지 이어진다. 하지만 가장 화제가 되는 건 역시 일자리다. 박근혜 후보 쪽은 이렇게 말했다. "스마트 뉴딜을 통해 IT를 전통산업에 접목해 일자리를 만들겠다." 그냥 무미건조한 얘기다. 하지만 '국민행복추진위원회 관계자'가 연합뉴스와 통화하면서 말했다는 "IT는 효율화를 통해 일자리를 줄이게 마련"이라는 얘기가 화제에 오르면서 IT와 일자리 사이의 관계도 논의 대상이 되고 있다.

IT는 일자리를 늘릴까, 줄일까. 손쉽게 내릴 수 있는 답은 당연히 IT 관련 일자리는 늘이고 다른 분야의 일자리에는 별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정도다. 물론 대체 관계에 있는 산업들은 IT의 발달에 따라 시련을 겪게 된다. 음악과 신문, 영화, 쇼핑몰, 지역 서점 등이 대표적이다. 그러면 이런 일자리가 줄어든다고해서 과연 전체 일자리가 줄어든다고 말할 수 있을까? 물론 아니다. 개별 산업과 업종은 늘 부침을 겪게 마련이고, 심지어 시장에서 사라지기도 한다. 하지만 그게 사회 전체를 위협하지는 않는다. 사회가 그들을 제대로 흡수할 수만 있다면 말이다.

그런 측면에서, 지난해 7월에 나온 기사지만 지금 상황에서도 이 글은 꽤 많은 시사점을 준다.

이 그래프부터 보자.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는 성장도 둔화된 시대지만, 성장세보다 고용증가율이 훨씬 더 둔화된 시대다. 경제는 발전하는데 일자리는 늘어나지 않는 이런 현상은 21세기 들어 극적으로 증가했다. 미국만의 이야기라고 치부할 수도 있겠지만, 사실은 세계적인 현상이다.

이런 문제도 있다. 생산성 둔화와 일자리의 극적인 감소와 함께 사람들을 괴롭히는 건 실질소득의 문제다. 생산성은 계속 늘어나는데 도대체 그 과실은 어디로 사라진 것인지, 2003년 이후 미국의 대학 졸업자 소득은 정체된 상태다. 물론 같은 기간 생산성은 끊임없이 올랐다. 고졸 학력의 소득은 더 떨어졌다. 생산성이 올라가면 소득도 올라가는게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하지만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생산성 향상의 과실은 그 어느때보다 더 소수에게 집중된다.

이런 문제에 대한 원인분석은 대개 비슷했다. 기계가 사람의 일을 대신하기 시작했고, 글로벌라이제이션이 미국 내 일자리를 줄였다는 것이다. G2가 된 중국과 신흥국의 부상은 글로벌라이제이션을 설명하는 증거로 활용됐고 IT 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한 특정 산업 분야의 어려움은 이런 일이 곧 누구에게나 닥칠 일인 것처럼 받아들여졌다.

하지만 IT는 일자리를 없애지 않는다. 다만 조정할 뿐이다.

역사상 기술 발전은 늘 특정 분야의 일자리를 없애거나 줄여왔다. 그때마다 사람들은 여기에 저항했다. 하지만 기술의 발전은 분산된 저항에 눈꺼풀 한 번 꿈쩍하지 않았다. 변화는 늘 속도를 줄이는 법 없이 몰아닥쳤고, 적응한 사람들은 살아남고 적응하지 못한 사람들은 괴로워했다. 이게 사실 자본주의가 풍요를 유지하는 방식이었다.

지금이라고 딱히 이런 근본적인 방식이 달라졌을리 없다. 하지만 달라진 게 한 가지 있다. 기술 발전의 속도다. 무어의 법칙(18개월마다 프로세서의 성능이 두배로 발전한다는)이 등장한 뒤 이 법칙은 계속 유지돼 왔다. 컴퓨터의 발전 속도는 놀라웠고, 지금 우리가 들고다니는 스마트폰은 20년 전 연구소에서나 쓰던 값비싼 고성능 워크스테이션보다도 성능이 더 뛰어나다. 소프트웨어 알고리듬의 발전도 놀라워서 이제 IT는 거의 모든 산업분야를 다 혁신하기 시작했다.

문제는 기술 발전 앞에서 재교육을 통해 적응해 나가던 사람들이다. 개별 인간과 한 사회의 적응 속도라는 건 물리적인 한계가 있기 마련인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기하급수적인 발전은 이 물리적 한계를 돌파해버린 상태다. 마치 물체가 음속의 벽을 돌파해 움직일 때 나는 소닉 붐(sonic boom)처럼 사회 곳곳에서도 한계를 견디지 못하는 굉음이 들린다. 그래서 지금은 공황의 시대나, 불황의 시대라고 설명하는 것보다는 인류 최대의 구조조정기라고 보는 게 맞을지도 모르겠다.

불황을 극복하는 방법은 인위적으로 일자리를 늘리고 소비를 진작시키는 방식이다. IT가 일자리를 늘리고 줄이는 변수라고 생각한다는 건 이를 통해 경기가 살아나고 사람들은 지금까지 하던 일을 하던 방식대로 더 열심히 하면 된다는 메시지를 주는 것이다. 하지만 현실이 불황이 아니라 구조조정이라고 생각한다면 극복 방식도 달라져야 한다. 이제 우리는 하지 않을 일은 하지 않고, 해야 할 일을 하는 시대로 접어들기 시작했다. IT가 과연 일자리를 줄일까? 질문이 잘못됐다. 일자리는 IT 때문에 줄어들기도 하고 늘어나기도 한다. 그리고 국가 경제를 생각하는 지도자라면 사람들에게 일자리가 생기는 곳으로 빨리 옮겨가는게 중요하다는 명확한 메시지를 던져야 하는 게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