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가 바로 샤를리다. #JeSuisCharlie
by 김상훈
우리는 협박에 맞섰습니다. 왜냐하면 때때로 공격적으로 들릴 수 있을지라도, 서로 다른 목소리를 내는 것이야말로 우리가 사는 세상을 좀 더 즐겁고 좋은 곳으로 바꿔 나간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 저는 피해자들과 같은 생각을 합니다. 그들의 가족들은 물론 프랑스인들, 그리고 나아가 자신의 생각과 견해를 다른 이들과 나누려는 사람들의 생각에 동의합니다. 심지어 용기가 있어야만 이런 견해를 나눌 수 있다 할지라도 말입니다.
프랑스의 풍자 주간지 '샤를리엡도'에 대한 비극적인 총격 테러에 놀란 세계가 "내가 바로 샤를리다"라면서 희생자를 애도하는 동안, 다른 한편에선 테러는 잘못됐지만 그래도 샤를리엡도 또한 너무한 게 아니냐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난 개인적으로 표현이 어떻게 됐든지, 그것이 표현의 영역일 땐 또 다른 표현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본다. 총칼이 아니라.
그런데도 뉴욕타임즈의 칼럼니스트인 데이빗 브룩스 같은 사람조차 샤를리엡도 테러에 대해 '나는 샤를리가 아니다'라는 주장까지 하고 있다. 테러는 반대하지만, 샤를리엡도도 종교에 대해 잘못된 접근을 했고 이걸 사회 전체가 '내가 샤를리다'라면서 지켜줄 건 아니란 얘기다. 칼럼니스트보다 저커버그가 낫다. 우리가 표현의 자유에 대해 얘기할 때 지켜줘야 하는 건 잘 포장된 얌전하고 정선된 이야기가 아니다. 이게 과연 우리가 지켜줘야 하는 것인지, 말아야 하는 것인지 애매모호한 바로 그 논쟁적인 지점이야말로 표현의 자유로 보호돼야 하는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