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preting Compiler

넥서스4

by

nexus4
결국 투항했다. 새 앱은 모두 안드로이드로 나오는데 나만 아이폰을 쓰고 있기엔 비효율도 너무 많다. 당장 카카오페이지를 써봐야 하는데, iOS에선 안 돌아간다. 새 앱이 나오면 국내 앱은 모두 안드로이드부터 지원한다. 페이스북홈도 안드로이드용이다. 그러니 방법이 없다. 선불 카드를 하나 사서 새 번호를 기존에 쓰던 아이폰에 넣어두고 기존 카드는 넥서스4로 옮겼다.

아쉬운 건 무지 많다. 아이메시지를 전화기에서 못 쓴다는 게 제일 아쉽고(전화기는 어쩔 수 없이 투항했지만 맥과 아이패드를 PC와 안드로이드 태블릿으로 바꿀 생각은 아직 눈꼽만큼도 없다.) 기계적인 아쉬움도 여전하다. 넥서스4는 아주 잘 만든 하드웨어지만, 두 개가 영 불만이다. 하나는 카메라. 아이폰5를 쓰면서부터는 따로 '제대로 된 카메라'를 들고 다니는 일이 완전히 사라졌다. 아이폰5가 제대로 된 카메라니까. 예전에 50만 원 넘게 주고 샀던 카메라가 하나도 부럽지 않을 정도다. 다른 하나는 음악. 음질은 어찌어찌 귀를 적응시켜 참아본다고 쳐도, 아이튠즈 매치와 아이튠즈의 재생목록 기능 같은 건 안드로이드에선 기대하기가 힘들다. 물론 구글 뮤직도 클라우드에 음악 파일을 저장하는 게 되긴 되고, 안드로이드에도 재생목록을 스마트하게 지원한다는 앱이 있긴 있다. 안드로이드가 원래 아이폰에서 쓰는 대부분의 기능이 되긴 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할까. 그런 게 영 맘에 안 든다. 되긴 되는 걸 원하는 게 아니라 제대로 되는 걸 원하는데, 기대는 충족되지 않는다. 사소한 문제들도 있다. 넥서스4에는 아이폰처럼 손톱 끝으로 밀어서 진동과 일반 모드를 전환시켜주는 스위치도 없고, 홈버튼도 없다.

그럼에도 넥서스4를 쓰는 건 카카오페이지가 좋아서...만은 아니고, 다른 좋은 점들이 많아서다. 사실 요즘 뭔가 인기라는 앱들이 전부 안드로이드로 먼저 나오기 때문인데, 예를 들어 키보드다. 스위프트키를 처음 써봤는데, 외부 키보드 사용을 꽁꽁 막아놓은 아이폰에서는 이 놀라운 키보드를 쓸 방법이 아예 없다. 한글, 영어 어떤 언어든 입력할 때 스위프트키는 기존 키보드보다 훨씬 편했다.

둘째는 당연히 지도다. 아이폰의 구글지도는 아주 뛰어난(심지어 안드로이드보다 뛰어난) 매력적인 UI를 갖고 있지만, '내 지도' 기능이 없다. 이 기능을 쓰는 사용자가 얼마나 될 지는 모르겠지만 나는 아들과 언젠가 놀러갈 장소를 표시해 놓는 용도부터 시작해서 꼭 한 번 들러보고 싶은 술집이라거나, 특정 출장 기간 동안의 취재원과 만날 인터뷰 장소 등을 모두 '내 지도'로 적어 둔다. 그러면 안드로이드폰에서는 이걸 불러와서 찾아가야 할 장소를 한 눈에 볼 수 있다. 동선을 짤 때 이보다 편한 방법이 뭐가 있는지 난 잘 모르겠다. 아이폰에선 아예 내 지도를 불러올 수 있는 기능 자체가 빠져 있다. 즐겨찾기 정도는 되지만, 그보다 더 '구글스럽게' 쓰는 건 안 되는 것이다.

셋째는 많은 사람들이 말하는 공유 기능. 미투데이로 글을 읽다가 포켓에 글을 내보낸다거나, 친구가 문자메시지로 보내준 사진을 라인으로 전송하는 게 왜 아이폰에선 그렇게 어려운 작업이어야 하는지 이유를 모르겠다. 물론 한 번 이 앱 저 앱 모두 공유기능을 풀다운 메뉴에 집어넣기 시작하면 지저분하기 이를 데 없어지는 안드로이드의 특징이 짜증나기는 하지만, 그래도 지저분해서 뭔가를 지워가는 게 없어서 불편한 것보다는 나은 것 같다.

넷째 녹음 기능. 이지보이스레코더라는 앱을 내려받았는데, 넥서스4의 마이크 감도가 아주 좋아진 기계적인 발전도 좋지만 전화가 오면 오는대로, 문자메시지나 다른 알림이 뜨면 뜨는대로 녹음이 정지되지 않고 계속 진행되는 게 최고다. 아이폰에서는 쓰는 사람 생각이 어떤지는 묻지도 않고 전화가 오면 아이폰이 무조건 녹음을 중단했다. 나처럼 전화기로 녹음을 하는 사람들에겐 이거 은근히 짜증나는 일이었다.

다섯째는 태스커. 사실 스위프트키와 태스커는 지난번 신문 칼럼으로도 썼던 주제다. 안드로이드의 분명한 장점 말이다. 사람이 해야만 하는 귀찮은 일을 줄이기 위해 스마트폰을 쓰는 건데, 조금만 머리를 쓰면 지금의 스마트폰에 훨씬 더 많은 귀찮은 일을 대신 시킬 수 있다는 게 가장 맘에 들었다.

여섯째로 무선충전기. 별 것 아니라고 생각했는데, 늘 배터리가 부족해서 자리에 앉으면 늘 충전기에 전화기를 꼽아놓곤 하다보니 이게 별 것 아닌 게 아니었다. 전화가 오면 들어야 하고, 들고 통화하다 일어서서 걸어야 하기도 하는데, 그때마다 충전 코드를 뽑았다 꽂았다 하지말고 이렇게 올려만 두고 있으면 그게 의외로 편하다.

지금까지 애플은 혼자서 거의 모든 걸 다 해왔다. 아이폰은 하드웨어로서 여전히 최고이고,(화면 크기든 뭐든 전체적인 완성도로 이보다 더 뛰어난 기계는 아무리봐도 아직 없다.) 앱도 훌륭하다. 하지만 애플은 한국 시장을 위한 최적화에는 그다지 포커스를 맞춰본 적이 없는 것 같고, 애플의 훌륭한 하드웨어를 직접 통제하려 드는 외부 파트너들도 환영하지 않는다.

대신 그 덕분에 생긴 엄청난 장점이 있는데, 그게 바로 보안이다. 한국이 안드로이드를 원하니, 나도 어쩔 수없이 안드로이드를 쓴다. 하지만 주위 사람들에겐 여전히 아이폰을 권한다. 특히 우리 어머니나 장인장모님 같은 어른들에게. 어제였나, 회사에 들어갔더니 옆 부서 데스크가 "왜 쓰지도 않은 소액결제가 내 핸드폰으로 결제된 거냐고!"라면서 소리를 치는 게 들렸다. 화가 나셨겠지만 아마도 스미싱이겠지 싶었다. 이유는 간단한데, 별로 설명하긴 싫고, 설명해봐야 문외한이 그걸 이해해야 할 의무도 없다. 그냥 아이폰을 쓰면 그런 문제를 겪을 일이 없다. 안드로이드에서도 설정을 어찌 하고, 뭘 주의하고, 얘기하면 되지만 왜 그런 걸 소비자가 고민해야 할까.

사실 보안만이 아니라 이건 애플이 아이폰과 아이패드를 만든 철학과 같은 것이다. 토스터 같은 컴퓨터. 우리 어머니도 쉽게 쓸 수 있는 기계. 아이폰은 손 댈 수 있는 게 적고, 획일적인 부분도 없지 않지만 그 덕분에 누구나 언제든 쉽고 편하게 접근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는 개성을 나타낼 수 있고, 강력한 기능도 넣을 수 있겠지만 그 탓에 끊임없이 예상치 못한 문제가 생겨나고 그 문제를 사용자가 스스로 해결해 나가야 한다. 고난의 연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