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preting Compiler

넥서스7

by

언젠가 넥서스7 관련 얘기를 써봐야겠다는 생각이었는데, 계속 미뤄졌다. 솔직히 정말 할 말이 없었다. 작고, 가볍고, 값에 비해 성능이 뛰어나다는 얘기야 신문에도 기사로 썼는데, 사실 그것 말고 다른 얘기 할 게 별로 없었기 때문이다. 세상 사람들이 모두 스티브 잡스가 될 필요는 없는 것이니, 구글이 값싸고 성능좋은 괜찮은 기계 뽑아내는 상황에 대해 이 기계가 럭셔리한 고급기계가 아니라고 툴툴댈 필요도 없고, 디테일이 부족하다고 실망할 필요도 없으니까. 그러니까 그 정도다. 직접 손에 들어보면 싸구려 7인치 태블릿이라고 평가절하했다면, 그 평가절하가 후회될 정도로 좋은 기계지만, 하도 좋다는 리뷰가 많아서 기대를 잔뜩 했다면 맘에 안 드는 부분이 한둘이 아닐 것이다. 30만원도 내가 만족할 수 없다면 결코 싼 값은 아니니까. 아이패드의 반값이란 것만으로는 면죄부를 받기는 힘들다.

사실 안 좋은 점을 딱히 찾기란 힘들다. 카메라가 되지 않아 문제라고는 하지만, 태블릿을 들고 카메라로 쓰는 사람이 워낙 별로 없기 때문에 카메라 때문에 아쉬웠던 일은 한 번도 없었다. 터치스크린 오작동 문제 같은 비교적 널리 알려진 불량 문제도 내가 들고 있는 넥서스7에서는 한 번도 발생하지 않았던 문제고, 사실 이런 문제는 거의 모든 터치스크린 제품이 동일하게 겪는 불량이기도 하다. 오히려 제품의 내구성에서는 아이패드보다 나은 부분이 있다. 아이폰이나 아이패드와는 다른 의미로 아주 단단하다고 할 만한 부분인데, 지난 3개월 동안 몇 차례 떨어뜨리고, 굴리고, 험하게 다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눈으로 보이는 넥서스7의 상처라고는 지저분해진 상처투성이 흰색(I/O에서 나눠준 건 뒷판이 흰색인 스페셜 에디션) 뒷판과 전면 유리의 작은 실흠집 뿐이다. 한 번은 떨어뜨려서 앞판과 뒷판이 벌어져 버렸는데도 꾹꾹 눌러주자 다시 척척 맞아떨어져 원래 형태로 조립됐다. 아이패드였다면 이런 식으로 끼워맞추는 형태의 조립 같은 건 애초에 설계 과정에도 들어있지 않았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맘에 안 드는 점이 없는 건 아니다. 우선 밝기 조절이 잘 되질 않는다. 책을 읽는 기계로 포지셔닝하려던 게 구글의 의도 같은데, 그렇다면 침대에서 자기 전 스탠드 조명 없이 읽을 수 있는 환경을 고려해야 했다. 아이패드에서는 백라이트를 극단적으로 줄이는 설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밤에 조명이 완전히 꺼진 침대에서 책을 읽을 때에도 눈이 덜 피로한 설정으로 책을 읽을 수 있다. 하지만 넥서스7은 너무 밝다. 터치스크린 캘리브레이션도 그리 정확한 것 같지는 않아서 늘 약간 위쪽을 누르는 느낌으로 탭을 하는 버릇이 들어버린 것도 옥의 티다.

사실 가장 불편한 점은 밝기 조절이나, 터치스크린 따위가 아니었다. 안드로이드 탓이었다. 이미 아이폰과 아이패드, 맥은 서로 너무 지나칠 정도로 딱딱 맞아떨어지는 호환성을 완성한 상태다. 메시지를 보내면 세가지 기기 모두에 메시지가 전달되고, 각종 멀티미디어 파일도 자유롭게 주고받는 게 가능하다. 반면 이 사이에 안드로이드 기기가 하나라도 끼어들면 그 기기는 섬이 된다. 넥서스7이 그랬다. 그 자체로 쓸 땐 괜찮은데, 아이폰과 맥 사이에 끼워놓으니 뭔가 어색했다. 오히려 갤럭시넥서스를 잠시 테스트삼아 쓰고 있던 때에는 두 기계가 매우 잘 어울려서 별 어려움을 못 느꼈다. 아이폰과 맥 사용자가 넥서스7을 쓰려고 한다면 추천하기 어렵다는 뜻이다. 반면 스마트폰이 안드로이드라면 반대로 이 기계는 매우 좋은 대안이 된다.

특히 iOS 제품을 쓴다면, 넥서스7을 발매하면서 구글코리아가 공을 들인 구글북스나 구글무비 같은 서비스가 사실 아무런 가치가 없는 서비스가 된다. 두 서비스가 다 열렸음에도 불구하고, 넥서스7을 꽤 자주 들고 다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내 개인적으로는 구글북스와 구글무비에선 단 한편의 콘텐츠도 사지 않았다. 앞으로도 사지 않을 생각이다. 책은 리디북스나 교보, 크레마 같은 크로스플랫폼 서비스가 있고 동영상도 티빙 같은 서비스가 있다. 어차피 애플 앱스토어와 구글플레이 사이에 호환이 될 일은 없다고 본다면 더더욱 후발주자인 구글 서비스를 쓸 이유가 없어진다.

넥서스7은 확실히 주머니 속에 넣어다니고 다니는 콘텐츠 플레이어다. 그 점을 염두에 두고 만들었다는 생각이 강하게 든다. 하지만 그 때문에 오히려 나같은 iOS 사용자에게는 매력이 떨어진다. 구글로 갈아타기엔 벌써 아이폰, 아이패드와 보낸 시간이 꽤 길다. 구글이 왜 그렇게 구글플레이 스토어에서 무료앱을 강하게 권하는지 알만한 지점이다. 사용자들의 전환비용을 줄이려면 이 수밖에 없으니까. 하지만 그렇게 무료앱을 밀어붙이는 정책 때문에 개발자는 물론이고 콘텐츠 사업자나 작가, 가수 같은 생산자들이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꺼리는 것이기도 하다.

넥서스7은 그래서 잘 만든 기계지만 어정쩡한 위치에 있다. 이 기계가 구글을 구원할까, 아니면 이 정도를 해도 안 된다는 패배감을 안겨줄까. 미국에선 아직 인기라지만, 언제 나올지 모를 소문이 무성한 '아이패드 미니'도 지금 발매시기를 내다보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