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preting Compiler

성공은 바보가 한다

by

dixonyc02
성공의 조건은 뭘까. 그 조건이 '좋은 아이디어'라고 생각한다면 아마도 당신은 성공하기 힘들다. 좋은 아이디어라고 여겨질 법한 괜찮은 아이디어는 이미 똑똑한 사람들이 모두 시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것도 엄청난 돈과 똑똑한 인재가 모인 대기업에서. 예를 들어 배터리가 오래가는 스마트폰을 만들겠다는 건 좋은 아이디어다. 그게 바로 애플이나 삼성전자 같은 회사가 그 일을 하는 이유다. 그래서 진짜 성공은 바보같아 보이는 아이디어에서 나온다. 그러니까 겉으로는 바보같아 보이지만, 사실은 정말 좋은 아이디어라는 걸 발견해 낸 사람이 성공하는 법이다. 안드레센 호로위츠의 파트너 크리스 딕슨이 이 바보같은 아이디어에 대해서 설명했고, 그걸 비즈니스 인사이더가 받아 적었다. 참고할만한 부분이 많다.

"창업가와 스타트업 투자자는 남들이 다 가져가고 남은 부분에서 사업을 벌이는 사람들입니다. 그러니까 좋은 아이디어를 찾아 헤매면 안 되는 거죠. 남들이 하지 않는 아이디어를 찾아야 해요. 야후가 검색은 유저를 밖으로 내모는 바보짓이라고 생각할 때 거기서 기회를 본 구글처럼, 남의 집에서 자는 건 괴짜들이나 하는 카우치서핑 같은 거라 사람들이 여길 때 이걸 사업으로 만든 에어비앤비처럼."

그러면 이런 좋은 아이디어가 왜 큰 기업의 사업이 되지는 않는 걸까. 딕슨이 보기엔 세가지 특징이 있다.

  • 첫째로 이런 좋은 아이디어는 이미 성공한 사람들에겐 '취미생활'처럼 보인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전보 회사 웨스턴유니언은 전화 사업을 취미로 생각했다.
  • 둘째로 이런 아이디어는 대기업의 종합 서비스 가운데 겨우 일부인 경우가 많다는 데 있다. 예를 들어 뉴욕타임즈는 자신들의 지역광고가 별도 서비스가 될 거라곤 생각도 못했다. 하지만 크레이그리스트가 이걸 사업으로 성공시켰다.
  • 끝으로 취미생활이 진짜로 이런 사업을 만드는 시작이기 때문이다. 애플은 홈브루 PC클럽에서 PC를 조립하던 괴짜들이 만든 회사였다. 연구개발 예산이 잔뜩 쌓여있는 대기업에서 심각하고 진지하게 벌이는 일로는 아예 시작될 수 없는 일이 이런 아이디어였다.

하지만, 딕슨이 강조하지는 않았는데, 당연한 주의점도 하나 있다. 위 그림의 '성공의 스윗스폿' 벤다이어그램은 아주 왜곡돼 있다는 점이다. 저걸 보면 좋은 아이디어와 나쁜 아이디어가 반반 정도로 보이는데, '이미 대기업이 경쟁중인 좋은 아이디어'는 사실 극소수에 불과하다. 그리고 누구도 사업화 따위는 거들떠보지 않을 것 같은 나쁜 아이디어, 즉 오른쪽 하늘색 동그라미는 사실 저 크기의 수십, 수백배는 돼야 마땅하다. 즉, 진짜 성공의 스윗스폿이란 저 그림의 크기보다 훨씬 작을 수밖에 없다. 그런데 어떤 VC도 그런 얘긴 하지 않는다.

하긴 우린 모두 꿈을 먹고 살아가는 동물이니까. 아무리 라켓 헤드가 작다고 해도, 자꾸 휘두르다보면 익숙해지게 마련이고, 라켓에 익숙해지면 공은 스윗스폿에 기적처럼 자꾸 들어와 계속해서 제대로 걸리게 마련이다. 사실 그게 성공한 사업가가 계속 성공하는 이유기도 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