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preting Compiler

세상의 컴퓨터는 누가 사고 있을까?

by

마이크로소프트와 구글, 야후, 아마존. 얼마 되지 않는 몇몇 인터넷 기업들이 전 세계에서 팔리는 서버 컴퓨터의 20%를 사들이고 있다고 합니다. 서버 컴퓨터는 네트워크를 통해 업무를 처리하는 거의 모든 기업이나 학교, 연구소 등에서 사용되는 필수 설비라서 대형 구매자가 존재하기 힘든 제품입니다. 그런데 최근 생겨난 '클라우드 컴퓨팅'의 확산으로 점점 대형 구매자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죠.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말 그대로 '구름 속의 컴퓨터'라는 개념입니다. 예를 들어 내 컴퓨터에서 '이번 주 뉴욕타임즈 베스트셀러를 찾아달라'는 명령을 내릴 경우, 이를 찾는 계산을 수행하는 컴퓨터는 내 컴퓨터가 아닙니다. 네이버나 구글의 검색 서버가 그 일을 하게 되죠. 그런데 네이버나 구글의 검색 서버는 한두 대가 아닙니다. 수십~수백만 대의 컴퓨터 가운데 한 대가 그 명령을 수행하고, 다른 컴퓨터들에게 도와달라는 요청을 보내면, 다른 컴퓨터에 저장된 수많은 색인 정보들 가운데 하나가 발견돼 내 컴퓨터 화면에 결과가 나타나는 겁니다. 이렇게 사용자의 컴퓨터가 아닌 '구름 속에 있는' 컴퓨터가 작업을 수행하는 환경을 클라우드 컴퓨팅이라고 합니다. 최근 클라우드 컴퓨팅에 가장 적극적인 회사들이 바로 위에 언급한 4개의 회사입니다. 이들이 사용자에게 신속하고 정확하고 안정적인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엄청난 양의 컴퓨터를 사들이고 있는 것이죠.

축구장 두 개보다도 넓다는 마이크로소프트의 데이터센터는 물론, 쏟아지는 서버 컴퓨터의 전력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아예 황무지 협곡의 강 옆에 세계 최대 규모의 데이터센터를 세우고 있는 구글 등, 미국 업체들은 지금 사상 초유의 실험 중입니다. 구글이 지난해 사용한 유형자산 구입비용만 약 24억 달러입니다.환율을 원화 가치가 강세를 보였던 당시 기준인 1000원으로만 잡아도 2조4000억 원이죠. 매년 정률 감가상각을 하는 구글은 감가상각 비용만 2006년 4900억 원에서 지난해 1조2000억 원으로 늘어났습니다.

한국 기업들은 어떨까요? 규모는 상대가 되지 않지만, 그래도 한국에서도 인터넷 기업이 주요 서버 구매 고객인 것은 비슷합니다. 네이버와 한게임을 운영하는 NHN의 유형자산은 2006년 말 999억 원에서 2007년 말 1282억 원으로 늘어났고, 지난해 말 기준으로는 1883억원에 이릅니다. 감가상각비도 2006년 152억 원에서 2007년 301억 원, 2008년 400억 원로 증가했죠. NHN은 4년 정액상각법을 사용해 감가상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자산 구입비용이나 감가상각 비용에 대한 효과가 구글과는 약간 다르긴 하지만, 전반적인 트렌드는 비슷합니다. 기계장치 거래에서 NHN이 파트너를 한 번 바꿀 때마다 NHN을 놓친 회사의 담당자는 문책을 당한다는 소문이 돌 정도입니다.

빅스위치, IT가 중요한가 등의 저서로 국내에서도 유명한 니콜라스 카는 자신의 블로그에서 "메가컴퓨터가 다가온다"며 결국 우리의 컴퓨터 사용환경은 중앙집중적 체제로 변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그 변화는 좀 더 저렴하고, 강력하며, 안정적인 컴퓨터 환경을 대중에게 전해 줄 수 있는 기술의 유토피아인 동시에, 우리의 모든 정보가 소수의 기업들 손에 집중되고, 우리의 모든 취향과 신념체계, 지금껏 간직해 온 구 시대의 문화가 사라져 버릴지 모르는 디스토피아이기도 합니다. 시대는 변하고 있지만 누구도 그 끝이 어디일지는 알고 있지 못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