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preting Compiler

터닝메카드

by

전에 이런 글을 한 번 쓴 적이 있습니다. 값도 거의 차이나지 않는 손오공의 완구와 일본 반다이의 완구 사이의 차이에 대한 글이었죠. 그게 벌써 1년 전이네요. 크리스마스 때였습니다. 완구업체 대목이죠. 올해도 크리스마스가 오는 모양입니다. 페이스북을 보니 지인 분께서 아들 선물로 터닝메카드를 사셨다는 사진을 올리셨네요. 아들이 눈치챈 것 같다는 고민에 빠지셨습니다. 저도 뭔가 사서 아들 몰래 잘 숨겨놨습니다. 그런데, 사진 속 문구에 눈이 갑니다. "순수 국내 기술로 기획, 개발한 변신자동차!"

스크린샷 2015-12-19 오후 2.21.47

얼마전 조선일보에는 손오공 창업자 최신규 회장이 '직접' '3년 간'이나 개발에 매달렸다는 터닝메카드 이야기도 나왔습니다. 인터뷰를 보면 최 회장은 이렇게 말합니다.

최 회장은 "언제까지 외국에만 의존할 수 없다고 보고 한국 정서에 맞는 캐릭터 완구를 만들어 성공시키자고 다짐했다"고 말했다.

그런데 터닝메카드의 오프닝 주제가가 나올 때 보면 재미있는 점이 눈에 들어 옵니다. 처음 나오는 타이틀은 기획 초이락컨텐츠팩토리입니다. 지난 손오공 관련글에서도 설명했지만, 이 회사는 최 회장의 아내와 아들이 소유한 비상장 비공개 가족 기업입니다. 기업공개된 상장사 손오공은 이 초이락컨텐츠팩토리가 기획한 애니메이션을 사들여 완구로 만들고 판매합니다. 이것 자체가 큰 문제는 아닙니다. 애니메이션이 뛰어나다면 그게 대주주 개인 회사든 아니든 중요한 것은 아니죠.

스크린샷 2015-10-26 오후 3.01.36
스크린샷 2015-10-26 오후 3.01.54
각본
두번째로 나오는 이름은 구성작가입니다. 영어로 Atsushi라고 써있죠. 마에카와 아츠시, 일본의 애니메이션 각본가입니다. 동일인물이 맞는 건가 궁금했는데, 일본어 위키피디아에도 Atsushi라는 명의로 한국의 터닝메카드 구성에 참여했다고 나와 있네요. 한국 정서에 맞는 캐릭터 완구를 일본 작가에게? 그것도 평소에는 일본어로 前川淳라고 이름을 쓰는 작가의 이름을 굳이 영문으로 적어서 내보냅니다. 왜 일본어 이름을 그대로 못 써주는지 의아할 뿐입니다. '한국 정서에 맞는 캐릭터 완구'를 만드는 일에 일본인이 참여한 게 문제라고 생각한 걸까요? 심지어 각본가들도 한글도 일본어도 아닌 영어 표기로 엔딩 크레딧에 잠시 스쳐지나갑니다. 음...

마에카와 아츠시는 또한 국내에 슈팅 바쿠간이라고 소개된 만화 爆丸バトルブローラーズ의 제작자이기도 합니다. 완구 제조와 동시에 기획돼 만들어진 이 만화는 재미있게도, 카드와 바쿠간이 만나면 자석의 힘으로 변신하는 만화입니다. 카드와 자동차가 만나는 터닝메카드와 똑같은 설정이죠. 또 주인공 어린이들이 각각의 캐릭터와 친숙해지는 구성도 똑같습니다. 개별 스토리는 다르다고 할 수 있겠지만, 전체의 틀은 슈팅 바쿠간과 터닝메카드가 상당히 유사합니다.

조선일보 인터뷰를 조금 더 읽으면 이런 말이 나옵니다.

개발 과정은 쉽지 않았다. 수년간 히트작이 없었고 회사는 2013~ 2014년 연속 적자를 내면서 자금난에 시달렸다. 지인에게 돈을 빌려서 겨우 직원들 월급을 주고 완구 재료를 조달하기도 했다. 그는 "주말이나 명절에도 집에서 가족들과 함께 밤새워 캐릭터를 개발하고 실험을 진행했다"며 "이게 안 되면 모두 끝난다는 생각이었다"고 말했다.

이해가 잘 안 갑니다. 인터뷰는 '손오공의 최신규 회장' 얘기인데, 이 개발 과정은 손오공의 개발과정 같지가 않습니다. 상장사인 손오공이라면, 연속적자를 내긴 했습니다. 하지만 손오공은 터닝메카드를 개발하지 않았어요. 개발은 초이락이 했고 손오공은 유통회사에 불과합니다. 개발사인 초이락 얘기라면 "수년간 히트작"은 없었겠지만, 앞선 글에서 설명했듯 "카봇 제작"을 담당했습니다. 터닝메카드 수준은 아니었어도 아주 인기있던 완구였죠. 심지어 "가족들과 밤새워 캐릭터를 개발"했다는데, 그 가족이 마에카와 아츠시 씨인 건가요?

무엇보다 손오공은 초이락과 지분관계가 없습니다. 초이락이 돈을 아무리 벌든, 그건 최 회장 가족들의 주머니로 들어갈 뿐 손오공의 수익과는 별 관계가 없다는 것이죠. 더 큰 문제는 두 회사 사이의 지분관계가 없기 때문에 양사의 거래가 어떤 식으로 일어나는지 공개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손오공의 소액주주들은 이런 문제 때문에 주총에서 초이락과의 거래내역을 밝히라고 했다지만, 단체행동에 실패한 것인지 통과되지는 못한 모양입니다. 현재 손오공의 지분 구성을 보면 최 회장이 약 17%, 소액주주들이 83%의 지분을 갖고 있지만 흩어져 있는 소액주주들의 지분으로는 뭘 어떻게 하기가 쉽지 않겠죠.

그냥 일본의 인기 애니메이션을 만든 탁월한 기획자를 영입해서 글로벌 상품을 기획했다고 말하면 안 되는 걸까요. 손오공은 손오공이고, 초이락은 초이락이라고 얘기하면 안 되는 걸까요.

다행히 아들은 크리스마스에 터닝메카드를 사달라고 조르지는 않고 있습니다. 아빠가 선물을 받은 느낌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