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preting Compiler

updated: 정보성 컨텐츠가 부족한 이 블로그

by

블로그를 운영한지 꽤 됐는데, 대부분의 검색 트래픽이 구글과 네이버에서만 들어왔다. 다음을 통한 검색은 거의 없어서 아마도 이게 인덱스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능력의 탓인가 생각했다. 그런데 트위터의 @gemong1 님 덕분에 알게 된 사실은 네이버와 다음은 구글과 달라서 '검색 등록'을 해야 검색이 된다는 사실. 그래서 네이버에선 어찌 된 일로 검색이 되나 싶어 들어가 찾아봤다. 그랬더니 관리자께서 알아서 이 블로그를 등록하셨다. 멋진 검색봇이 하루종일 웹을 돌아다니며 엄청난 인덱스를 모을 줄로 알았는데 약간 실망했지만, 그래도 어쨌든 결과적으로 검색되면 되는 법. 그리고 한 일이 다음에 검색등록을 신청한 것이었다. 결과는 아래 그림대로. "등록불가"

어지간하면 그런가보다 하겠는데, '아래와 같은 사이트' 기준을 읽고 있으니 어이가 없다. 1. 영리를 목적으로 운영되는 블로그가 아니고, 2. 일기, 신변잡기, 사진첩 모두 해당없으며, 3. 대부분 링크만으로 이뤄진 사이트가 아니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이 블로그는 다음 심사담당자의 내부 기준에 따라 콘텐츠가 부실하다고 판단됐다고밖에는 볼 수가 없다. 잘났다 다음. 인덱싱은 커녕 사람 손으로 등록하는 것도 못하더니, 알아서 등록해 달라고 사용자가 제출한 콘텐츠도 거절하는구나. 이래놓고 검색 회사라니. 다시는 검색등록 신청 안 한다.

------------------------------------------

update:

이런 답이 왔다. 여전히 궁금하다. 도대체 어떻게 하면 마우스클릭만 하면 이동할 수 있는 블로그를 헷갈릴 수 있는 걸까? 혹시 등록한 URL을 클릭한다거나, 복사해서 주소창에 붙여넣는 대신 일일이 다시 입력하나? 그렇다고, 마케팅용 키워드 같지도 않고, 내가 만들어낸 단어에 불과한 interpiler가 다른 유사 블로그와 혼동될 일이 있을까? 또 그렇게 혼동한 블로그는 과연 어디였을까.

그리고, 무엇보다, 다음의 '기준'은 뭘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