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라사와 나오키의 만화
by 김상훈
허핑펀포스트가 좋은 점은 아마도 이렇게 세계 각국의 허핑턴포스트 기사를 번역할 수 있다는 점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오른쪽 클릭을 막아놨네. 바보같은 웹사이트다. 이 글은 내게는 '마스터 키튼'으로 처음 접하게 된 우라사와 나오키의 인터뷰. 많은 사람들은 그냥 친구가 나오는 '20세기 소년' 혹은 '몬스터'로 기억하는 모양이지만, 나는 아무래도 마스터 키튼이 좋다. 인디아나 존스의 일본식 짝퉁이든 말든.
물론 만화가 무료가 되었다고는 해도 만화를 배급하는 회사가 작가에게 돈은 지불하지요. 하지만 그건 이 문제와 관계가 없습니다. 만화가와 독자 사이에 ‘대가를 내고 구입한다’는 계약이 없으면 안 된다고 생각해요. 대가를 내가 구입해야만 작품에 대한 경의랄지, 역으로 말하면 불평할 수 있는 권리랄지, 여러 가지가 발생하는 거예요. 근데 그게 무료라면 뭐랄까 그 ‘당연한 관계성’이 생기지 않는 느낌이 듭니다.
돈을 낸 사람에게는 계속 불만을 말할 권리가 있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무료로 볼 거라면 궁시렁궁시렁 하지마'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본래 작가에게 있어서 궁시렁궁시렁 얘기해주는 독자의 존재란 매우 중요해요. 물론 ‘재미있어요’라고 말해주면 기쁘지만. 그러니까, 얼마 되지 않는 돈이라도 지불하고 산 의견이란 건 무게가 다르다는 이야깁니다. 만화가와 독자의 위치가 이상하게 대등한 느낌이 듭니다.
종이책 밖에 내지 않는 구식 아저씨지만, 계속 이렇게 해줬으면. '빌리 배트'도 그렇고, '플루토' 같은 리메이크 만화도 역시 종이책이어서 좋았던 것 같다.